[2023-하계][정의철] URP를 마치며
안녕하세요. 지능기전공학부 무인이동체공학전공 정의철입니다. URP 지원을 고민 중이신 분들을 위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제 경험을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지원 계기> 저는 원래 자율주행차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2023-하계][김예찬] URP를 마치며
안녕하세요 지능기전 공학부 스마트기기 공학과 19학번 김예찬 입니다. URP 프로그램 지원 전 앞선 기수분들의 후기를 보면서 고민하던 게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데 어느덧 URP프로그램을…
[2023-하계][박서연] URP를 마치며
안녕하세요. URP 10기를 이수한 지능기전공학부 무인이동체공학전공 21학번 박서연입니다. 이후 URP를 지원하기 위해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ㅎㅎ. [지원 동기] 지능기전공학부에 입학해…
[CVPR2022]Active Teacher for Semi-Supervised Object Detection
[go to paper: pdf] 본 논문의 주제인 Active Teacher는 무엇인가요? Active Teacher란 active learning의 특징처럼 “주기적인 학습”을 하며 “teacher-student 구조를 갖는” 형태의 학습을 의미합니다. 즉,…
[BMVC 2021] 2.5D-VoteNet: Depth Map based 3D object detection for real-time applications
본 논문에서는 depth map에서 2d cnn을 이용해 direct하게 feature를 포착하여 3d object detection을 하는 task를 제안한다. input은 3d point cloud가 아니라 2d로 누른 depth map을…
[ECCV 2022] Prompting Visual-Language Models for Efficient Video Understanding
안녕하세요. 이번 주에 리뷰할 논문은 22년도 ECCV에 게재된 <Prompting Visual-Language Models for Efficient Video Understanding>입니다. 논문 제목에서의 Video Understanding은 보통 비디오를 다루는 모든 task를 통칭하며…
[AAAI 2018] LSTD: A Low-Shot Transfer Detector for Object Detection
안녕하세요. 열 아홉번째 x-review입니다. 이번에 작성하는 리뷰는 최근 연구에 대해 고민하던 도중 김남일 연구원님의 연사를 듣고 흥미있어지게 된, 그러면서 권석준 연구원이 발표한 KCCV 모교수님의 “Top-down…
[CVPR2020] On Recognizing Texts of Arbitrary Shapes with 2D Self-Attention
안녕하세요. 열 한 번째 X-Review입니다. 금주 리뷰할 논문은 CVPR 2020에 게재된 <On Recognizing Texts of Arbitrary Shapes with 2D Self-Attention>입니다. 그럼 바로 리뷰 시작하겠습니다. ! 1….
[CVPR 2022] TransFusion: Robust LiDAR-Camera Fusion for 3D Object Detection with Transformers
안녕하세요, 열한번째 x-review 입니다. 이번 논문은 CVPR 2022에 게재된 TransFusion으로 outdoor scene에서 RGB image와 point cloud를 fusion한 3D Object Deteciton 방법론 입니다. 그럼 바로 리뷰…
[IEEE Transactions] Cost-Effective Active Learning for Deep Image Classification
AAAI 2024 reference 작업 중 제가 실험하고 있는 방법과 비슷해보이는 연구가 있어 리뷰해보려고 합니다. 역시 항상 리뷰하던 Active Learning 에 대한 연구입니다. Title: Cost-Effective Active…
안녕하세요 정민님, 불친절한 논문에서 구체적인 리뷰 감사합니다. 뭔가 SOTA는 아니라곤 하지만 CVPR이 아니라면 저자의 방법론이 더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 생각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