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Paper
Paper Review
[WACV 2021] ClassMix: Segmentation-Based Data Augmentation for Semi-Supervised Learning
해당 논문은 semantic segmentation 방법론이지만 제가 작성하는 논문의 방향과 유사하다고 판단을 하여 리뷰를 하게 되었습니다. 논문 Abstract semantic segmentation 성능이 꾸준히 발전되어왔으나 (때로는 한 영상에…
[arXiv 2019] Diverse mini-batch Active Learning
저는 이번에 다시 Active Learning 관련 논문을 들고왔습니다. Active Learing? Active Learning (이하 AL)을 쉽게 말하자면 오라클(인간 어노테이터)가 동일한 라벨링을 하더라도 더 효과적인(성능이 오르는) 데이터를…
[arXiv2019]Discriminative Active Learning
요약 해당 논문은 2019년 공개되었으며[Link]. batch mode로 작동하는 active learning 기반으로 큰 배치 사이즈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이다. 용어 설명 active learning: 이전 X-Review[SRAAL]의 배경 기술…
[arXiv 2021] Video Contrastive Learning with Global Context
이번에 리뷰할 논문은 video 관련 여러 downstream task에 적용가능한 backbone network의 self-supervision 학습 방식을 다룬 논문 입니다. 현재 arXiv에 preprint로 공개되어 있지만, 논문 형식이나 기간을…
[CVPR2021] The Temporal Opportunist: Self-Supervised Multi-Frame Monocular Depth
이번 논문은 Monodepth1&2를 제안한 Godard의 새로운 Depth 논문입니다. 데이터 셋의 부족을 해결하고자 Self-supervised learning 방식으로 논문들을 작성하더니 이제는 비디오 프레임을 입력으로 활용하여 깊이 추정을 하는…
Visual Search & Discovery at Pinterest
Visual Search 3부작의 마지막은 Pinterest입니다. 다음 리뷰부터는… video retrieval로 다시 돌아갈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소개할 Pinterest는 시기상으로는 ebay → pinterest → Bing 이라 중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CVPR2020] Unsupervised Multi-Modal Image Registration via Geometry Preserving Image-to-Image Translation
제가 멀티스펙트럴 영상에서의 Misalignment를 해결하기 위해 한때 Image-to-Image Translation을 사용하였는데, 2020년 CVPR에도 비슷한 내용으로 멀티스펙트럴 영상에서의 Misalignment를 해결한 논문이 있어 리뷰를 작성합니다. 이야기에 앞서 해당…
[WACV2021] Deep Active Learning for Joint Classification & Segmentation with Weak Annotator
작성중인 논문이 pseudo label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self-training 방법론이라 찾아보게 된 논문입니다. Astract CAM을 이용하면 annotation 없이 픽셀 단위의 class값을 알 수 있지만 False Positive 비율이…
[ICLR 2021] An Image is Worth 16×16 Words: Transformers for Image Recognition at Scale
최근 Transformer와 Multispectral Pedestrain Detection을 접목한 논문을 리뷰하게 되었습니다. (해당 논문에 대해서는 김지원 연구원이 간단하에 X-Review로 작성해주셨기에 궁금하신 분들은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저는 Transformer…
[CVPR2018] Learning to Adapt Structured Output Space for Semantic Segmentation
저번에 리뷰한 김영현 연구원님이 제안한 MS-UDA 방법론의 베이스라고 할 수 있는 논문을 가져왔습니다. 저는 현재 열화상 영상의 깊이 추정 성능을 RGB의 성능만큼 끌어올리기 위해서 다양한…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