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김 태주
[arxiv 2023] The Surprising Effectiveness of Diffusion Models for Optical Flow and Monocular Depth Estimation
제가 diffusion model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연구실에 계신 분들은 다들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리뷰 논문이 이에 대해 보여줄 수 있는 논문이라고 생각합니다….
[CVPR 2022] LDM: High-Resolution Image Synthesis with Latent Diffusion Models
이번 리뷰 논문은 Diffusion model을 다루고자 합니다. 이번 Diffusion model은 그중 가장 유명한 방법론에 해당하는 stable diffusion을 다루고자 합니다. stable diffusion의 정식 명칭은 Latent Diffusion…
[CVPR workshop 2020] NH-HAZE: An Image Dehazing Benchmark with Non-Homogeneous Hazy and Haze-Free Images
이번 리뷰 논문은 Image Dehazing 분야에서 처음으로 real-world의 데이터 셋을 구성하여 챌린지(NTIRE 중 Dehazing 분야)를 개최한 NH-HAZE라는 데이터 셋에 다루고자 합니다. 해당 데이터 셋은 기존…
[ECCV 2022] Monitored Distillation for Positive Congruent Depth Completion
이번 리뷰 논문은 저번 리뷰에 이어서 비지도 학습 기반의 depth completion 논문을 들고 왔습니다. 해당 제목 그대로 기성 모델들을 teacher로 두고 distillation을 수행합니다. 다만, teacher…
[ICRA 2019] Self-Supervised Sparse-to-Dense: Self-Supervised Depth Completion from LiDAR and Monocular Camera
이번 리뷰 논문은 이전 논문에 이어 비지도 학습 기반의 depth completion 방법론 입니다. 해당 논문은 대부분의 자기 지도 학습 기반 depth completion 기법들이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를…
[CVPR 2022] Sparse Fuse Dense: Towards High Quality 3D Detection with Depth Completion
Intro 이번 논문은 야외 환경 ~ 자율 주행 환경에서의 라이다의 포인트 클라우드와 영상 정보를 함께 사용한 3차원 물체 인식 알고리즘에 대한 논문이며, 제출 당시 KITTI…
<2023년 상반기를 정리하며>
상반기 목적을 달성하였는가? 22년 아듀 세미나에서 상반기에는 팀원들을 키우는 것에 집중하겠다고 계획을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위와 같은 결정을 내린 이유는 저희 팀 멤버들이 학부 혹은…
[ICCV 2021] Unsupervised Depth Completion With Calibrated Backprojection Layers
이번 리뷰 논문은 비지도 학습 기반의 depth completion 방법론 입니다. 해당 방법론은 sparse한 깊이 정보를 영상 정보를 함께 활용하여 dense한 깊이 정보를 추론하는 방법론 입니다….
[ICLR 2021] Denoising diffusion implicit models. Part 1
이번 리뷰 논문은 저번 리뷰에 이어 diffusion model에 대해 리뷰하고자 합니다. 저번 리뷰에서는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했더라면 이번 리뷰에서는 수식도 구체적으로 다뤄볼 예정입니다. 해당…
[NeurIPS 2020] Denoising Diffusion Probabilistic Models
이번에 들고온 논문은 GAN을 누르고 생성 모델의 대세로 등극한 Diffusion model의 근본 논문 ‘Denoising Diffusion Probabilistic Models (DDPM)’을 다루고자 합니다. 해당 논문은 요즘 핫한 DALL-E,…
최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