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홍 주영

Posted in Paper X-Review

[ICCV 2017] How far are we from solving the 2D & 3D Face Alignment problem? (and a dataset of 230,000 3D facial landmarks)

저는 지난 학기동안 캡스톤에서 얼굴 이미지로 체중 변화를 알아내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희가 얼굴 이미지로 체중 변화를 어떻게 예측하였는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Continue Reading
Posted in Paper X-Review

[ICML 2018] Learning Semantic Representations for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KCCV에서 황원준 교수님께서 Domain Adaptation (DA) 의 Baseline으로 언급하신 논문 중 하나를 읽어보았습니다. 리뷰에 앞서 저는 몇 주간 계속 Adversarial Domain Adaptation에 대한 논문을 리뷰하고…

Continue Reading
Posted in Publications

“Weight Change Prediction for Automated Depression Diagnosi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 (ICCAS), Oct 2021.

Continue Reading
Posted in Conference Paper X-Review

[ICML 2018] CyCADA: Cycle-Consistent Adversarial Domain Adaptation

이번에 제가 리뷰할 논문은 저번주에 리뷰한 논문( ADDA: Adversarial Discriminative Domain Adaptation )의 동일 저자의 후속 연구입니다. ADDA를 기반으로 작성된 논문으로 저번주 리뷰를 함께 읽으면…

Continue Reading
Posted in Conference Paper X-Review

[CVPR 2017] Adversarial Discriminative Domain Adaptation

최근 Anomaly Detection에서 MLPD의 확장연구로 연구 방향을 전환하며, Domain Adaptation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읽어본 논문입니다. 참고로 최근에 김지원 연구원이 리뷰한 논문의 기반이 되는 논문이라고…

Continue Reading
Posted in Conference Paper X-Review

[ICLR 2019] DEEP ANOMALY DETECTION WITH OUTLIER EXPOSURE

저는 이번에 Anomaly Detection 관련 논문으로 리뷰를 써보고자 합니다. Anomaly Detection에 대해 접하면서새롭게 알아보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한 다양한 방법론을 접해보고 것도 좋을 것 같아, 기존…

Continue Reading
Posted in X-Diary

첫 주저자로서의 리뷰

안녕하세요. 저는 인생 첫 주저자가 되어 논문을 제출한 홍주영입니다. 지금 돌이켜보니 제가 논문을 썼다는게 믿기지가 않네요 .. 껄껄 느낀점이 정말정말 많고, 그로인해 요근래 이런저런 생각이…

Continue Reading
Posted in Conference X-Review

[ICCV 2017]Learning Spatio-Temporal Features with 3D Residual Networks for Action Recognition

저는 이번 주말동안 제가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어떤 연구 분야가 있는지 그리고 어떤 논문들이 있는지를 계속 찾아보았습니다. 주말을 다 쏟았음에도 불구하고 제…

Continue Reading
Posted in Conference X-Review

[ICCV 2019] CenterNet: Keypoint Triplets for Object Detection

오늘 논문은 저번 CornerNet에 이은 CenterNet입니다. CornerNet을 기반으로 생성한 모델로 기존 CornerNet의 단점을 보완한 Anchor Free 기반 Object Detection 방법론입니다. Introduction 기존 Anchor 기반의 방법론은…

Continue Reading
Posted in Publications

“Automatic Depression Prediction using Screen Lock/Unlock Data on the Smartphone,”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Robots (UR), July 2021.

발표영상 설명 스마트폰 센서를 통해서 우울증을 예측하는 논문이다. 기존에 스마트폰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우울증을 예측하는 연구들은 많이 있었으나, 최근 스마트폰 보안이슈가 많아지면서 스마트폰을 통해 취득할…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