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홍 주영
[2016 CVPR] Face Alignment Across Large Poses: A 3D Solution
저번주에 리뷰한 Facial Landmark Detection 서베이 논문의 경우 대개 2D 기반의 방법론들이 대부분이어서 서베이에서 소개한 방법론이 아닌, 이번에는 3D Landmark 를 추출하는 논문을 읽어보았습니다. [논문…
Fast Facial Landmark Detection and Applications: A Survey
Facial Landmark Detection 방법론의 서베이 논문입니다. 그동안 해당 분야의 논문을 너무 얇게만 훑어보는 것 같아 흐름을 파악하고자 읽어보았습니다. Facial Landmark Detection Problem Facial Landmark Detection…
[ICPR 2018] Joint Voxel and Coordinate Regression for Accurate 3D Facial Landmark Localization
저번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Face Landmark Localization 에 대한 논문을 가져왔습니다. 그 중 3D Face landmark localization에 대한 논문입니다. Face Landmark Localization 연구는 추후 Face 3D…
[KCCV 2021] 첫 학회에 참가하며
시작에 앞서… 사실 본 참관기를 KCCV가 끝난 주말에 작성해두었는데… 내용을 조금 더 보강하고 올려야겠다 생각하고 그대로 서랍장에 넣어뒀었네요 … 앞으로 그냥 바로바로 업로드 해야겠다는 것을…
[ICCV 2017] How far are we from solving the 2D & 3D Face Alignment problem? (and a dataset of 230,000 3D facial landmarks)
저는 지난 학기동안 캡스톤에서 얼굴 이미지로 체중 변화를 알아내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저희가 얼굴 이미지로 체중 변화를 어떻게 예측하였는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ICML 2018] Learning Semantic Representations for Unsupervised Domain Adaptation
KCCV에서 황원준 교수님께서 Domain Adaptation (DA) 의 Baseline으로 언급하신 논문 중 하나를 읽어보았습니다. 리뷰에 앞서 저는 몇 주간 계속 Adversarial Domain Adaptation에 대한 논문을 리뷰하고…
“Weight Change Prediction for Automated Depression Diagnosi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 (ICCAS), Oct 2021.
[ICML 2018] CyCADA: Cycle-Consistent Adversarial Domain Adaptation
이번에 제가 리뷰할 논문은 저번주에 리뷰한 논문( ADDA: Adversarial Discriminative Domain Adaptation )의 동일 저자의 후속 연구입니다. ADDA를 기반으로 작성된 논문으로 저번주 리뷰를 함께 읽으면…
[CVPR 2017] Adversarial Discriminative Domain Adaptation
최근 Anomaly Detection에서 MLPD의 확장연구로 연구 방향을 전환하며, Domain Adaptation 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읽어본 논문입니다. 참고로 최근에 김지원 연구원이 리뷰한 논문의 기반이 되는 논문이라고…
[ICLR 2019] DEEP ANOMALY DETECTION WITH OUTLIER EXPOSURE
저는 이번에 Anomaly Detection 관련 논문으로 리뷰를 써보고자 합니다. Anomaly Detection에 대해 접하면서새롭게 알아보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한 다양한 방법론을 접해보고 것도 좋을 것 같아, 기존…
답글 감사합니다! Q1. 초기값은 보통 pose hypothesis 생성 단계에서 r과 T을 추정하는 데 사용된다는 뜻입니다. image-to-3D나 CAD mesh를 이용해 만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