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조 원
[arXiv14] Learning Spatiotemporal Features with 3D Convolutional Networks
6년 전에 처음으로 나왔지만, 이번 video retrieval task 를 하며 자세히 읽게 되어 리뷰를 하게 되었습니다. 이전이나 현재까지도 주로 Convolution Network, input에 움직이는 방향이 2D인…
[arXiv2017] Quo Vadis, Action Recognition? A New Model and the Kinetics Dataset
Action classification 분야에서는 이전에 주로 UCF101, HMDB51와 같은 작은 규모의 데이터 셋을 사용하곤 했습니다. 그런데 다른 task에서 마찬가지로 학습을 시킬 때 충분히 큰 규모의 데이터셋으로…
2020 NAVER LABS Mapping & Localization Challenge 참가기
2020 NAVER LABS Mapping & Localization Challenge 의 Indoor 트랙에 참가 하여 3등의 결과를 얻기까지의 과정과 소감을 기록하고자 합니다. 캡스톤의 주제를 Indoor 환경에서의 visual localization…
[X-Diary] 연구에 대한 생각
앞으로의 연구 생활에 있어 방향을 잡기 위해 필요한 몇가지 질문의 답을 하기 위해 글을 씁니다. 1. 통상적인 학사과정과 석사과정, 박사과정의 차이, 그리고 각 과정동안 배워야할…
[ICCV 2007] Total Recall: Automatic Query Expansion with a Generative Feature Model for Object Retrieval
주로 image retrieval 을 처음 공부할 때, bag-of-visual-word 라는 방법으로 입문을 하고 합니다. BOVW 방법은 영상에서 local descriptor 를 추출하고 이를 대표하는 단어를 골라 사전을…
[ICIP 2020] Multispectral Fusion for Object Detection with Cyclic Fuse-and-Refine Blocks
이번 ICIP 2020 에 Multispectral image 를 이용한 해당 논문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논문에서 제안한 네트워크의 주된 아이디어인 cyclic fusion 의 반복적으로 feature 를 더해가는 방식과…
[CVPR 2012] Three things everyone should know to improve object retrieval
2012년 CVPR에 나온 조금 오래된 논문이지만 Visual localization을 image retrieval 기반으로 함에 따라 retrieval 성능 향상의 방법을 소개한 이 논문을 리뷰하려 합니다. 참고로 이 논문의…
세종 RCV 국제학술대회 제출기를 읽고 느낀점 및 앞으로의 목표
정신이 없다보니 아주 잊어버리고 있어 늦게 나마 한대찬/황유진 님이 올려주신 국제학술대회 제출 후기를 읽고 든 생각을 정리하려합니다. 두 분의 학술대회 후기를 읽으면서 앞선 ICRA 논문을…
[CVPR 2010] Line Matching Leveraged By Point Correspondences
두 영상에서 동일한 지점을 찾아내는 알고리즘으로는 대표적으로 SIFT, SURF 등등 이 있습니다. 그러나 두 영상이 실내에서 촬영되어 그렇다할 특징들이 없다면 두 영상을 매칭하는데 있어 큰…
[arXiv] D2D: Keypoint Extraction with Describe to Detect Approach
이전부터 Computer vision에서 영상의 keypoint 를 추출하는 것은 자주 풀어오던 문제였습니다. 주로 handcraft 알고리즘이라고 불리우는 전통적인 알고리즘들은 keypoint 의 위치를 detect 한 뒤, 특징을 표현하는…
안녕하세요 정민님 깔끔한 리뷰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약간 지도학습기반으로 다시 회귀하는 점이 장점이자 단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